FAQ

Laboratory Medicine Foundation
The basic purpose of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of the diagnostic laborator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aboratories across the nationand to guarante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in order to provide the most economical
and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for the patients

1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는 검사항목에 대해서는 어떤 대체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하나요??
Category: 외부정도관리/ 문항번호: 101200
2 검사실간 비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tegory: 외부정도관리/ 문항번호: 101200
3 검사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key indicators에 대해 환자/검체 인지 실수율, 응급검사 TAT, 혈액배양 오염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Category: 내부정도관리-I/질향상 문항번호: 201290
4 유리기구 세척 후 세척제 제거 여부 확인을 위해 기존에 pH측정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혹시 pH측정시 일반 pH측정하는시험지를 사용해도 가능한가요? pH 1~11까지 측정가능한 시험지입니다.
Category: 내부정도관리-II/유리용기의 세척 문항번호: 307080
5 자동검증의 정확성을 검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tegory: 검사수행 및 장비 운용/결과입력 및 보고 문항번호: 606020
6 민감도 대조군이란 어떤 것인가요?
Category: 내부정도관리-II/정도관리지침 문항번호: 301120
7 장비간 일치도에 대한 평가방법을 알려주십시오.
Category: 내부정도관리-II/정도관리지침 문항번호: 301420
8 중단된 검사의 검사지침서에 관한 양식은 어떤 형식으로 만들어야 하는지요?
Category: 내부정도관리-II/검사지침서 문항번호: 302520
9 Lot. N expired date에 관한 질문입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Calibration의 유효기간이 지났습니다. 물론 유효기간이 지난 모든 시약은 사용해서는 안되겠지만 Cal이 잘 맞고 data에 이상이 없는데도 버려야 하는지요?
Category: 내부정도관리-II/시약 : 일반사항 문항번호: 303340
10 Panic value, Critical value, Alert value 등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말씀하시는 분마다 조금씩 의견의 차이를 보이는 것 같아서요.
Category: 내부정도관리-II/정도관리지침 문항번호: 301240
11 Panic value, Critical value, Alert value 등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말씀하시는 분마다 조금씩 의견의 차이를 보이는 것 같아서요.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검사결과 보고 문항번호: 405220
12 시약과 calibrator가 전용인 경우도 해야 하는지 하면 어떤 방법으로 하나요?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Calibration 과정 문항번호: 401140
13 Calibrator lot 변경 시 parallel test법에 관한 자세한 답변을 부탁 드립니다.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Calibration 과정 문항번호: 401140
14 면역혈청문항에서 정도관리물질의 lot change가 있는 경우 시행하는 parallel test 의 허용범위는 어떻게 설정하는지요?
Category: 내부정도관리-II/정도관리지침 문항번호: 301440
15 진단혈액문항에서 정도관리 물질의 lot change가 있는 경우나 다른 회사제품으로 바꾸는 경우, parallel test를 시행하는가?
Category: 내부정도관리-II/정도관리지침 문항번호: 301440
16 생화학 검사 장비를 테스트 하려고 하는데 모든 아이템을 다 carry over test 해야 하는지와 공식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허용 기준에 대해서도 명확히 알 수 가 없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Category: 일반기구 및 장비/자동피펫 문항번호: 502060
17 면역장비는 일회용 tip과 cup을 사용하고 있는데 carryover평가를 해야 하는지요?
Category: 일반기구 및 장비/자동피펫 문항번호: 502060
18 % carryover 결과가 마이너스, 예를 들어 -1.9% 면 판정기준을 1.5% 이하로 했을 때, 절대값을 적용하여 "불량"으로 판정을 하는지, 아니면 마이너스니까 1.5%이하로 해석하여 '양호'로 판정하는지 궁금합니다.
Category: 일반기구 및 장비/자동피펫 문항번호: 502060
19 모든 검사종목에 대하여 AMR(측정가능범위)을 설정하여야 하나요?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검사결과 보고 문항번호: 405160
20 AMR 검증용 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어떠한 물질들이 있나요?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검사결과 보고 문항번호: 405160
21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정성적 검사결과를 보고하는 검사항목의 경우, AMR 실시를 하여야 하나요?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검사결과 보고 문항번호: 405160
22 Calibration verification을 실시해도 AMR 검증을 별도 실시하여야 하나요?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검사결과 보고 문항번호: 405164
23 사용하는 장비가 자동희석기능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AMR범위는 어디까지로 설정하고 검증을 해야 하는지요?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검사결과 보고 문항번호: 405164
24 AMR 범위 검증시 낮은 농도의 물질을 구하기 어려워 체액 등을 이용하고 있는데 낮은 농도값의 AMR 검증에 사용해도 무방한가요?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검사결과 보고 문항번호: 405164
25 모든 검사종목에 대하여 CRR을 실시하고 검증하여야 하나요? CRR 범위 설정방법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검사결과 보고 문항번호: 405165
26 HbA1c 검사를 HPLC 장비를 사용하여 검사하고 있습니다. 임상화학분야의 “HPLC” 관련문항에 대한 심사를 받아야 하나요?
Category: 검사수행 및 장비 운용/High Performa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와 Gas Chromatography (GC) 문항번호: 609212
27 Lot 변경시 reagent / calibrator /QC material의 평가원칙
Category: 검사수행전후 평가/Calibration 과정 문항번호: 401140
28 수은온도계를 표준온도계로 사용하는게 불가하다고 하는데, 디지털온도계를 표준온도계로 사용하며, 디지털온도계를 1년에 한번 검.교정받아 사용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Category: 일반기구 및 장비/ 문항번호: 504020